제정: 2024년 8월 3일
1. 목적과 범위: 한국건강간호연구(Korean Journal of Health & Nursing, KJHN)는 한국건강간호연구소의 공식 학술지이다. 국민건강 향상, 간호전문직 발전 및 간호사의 삶의 질에 관한 원저와 종설을 게재하며, 기타 건강, 복지 등과 관련된 논문은 출판위원회의 결정에 의하여 게재할 수 있다.
2. 학술지는 연간 2회(6월, 12월) 매월 말일에 발간한다. 창간호는 9월에 발간한다.
1. 한국건강간호연구에 투고하는 논문은 다음의 윤리규정을 지켜 작성하여야 한다.
1) 연구 대상이 사람인 경우, 헬싱키선언에 입각하여 대상자 또는 보호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연구 참여 중에 일어날 수 있는 정신적, 신체적 위해에 대하여 충분히 설명해야 하고, 이에 대한 동의를 받았음을 명시하고, 기관윤리위원회(IRB) 심의 통과를 권장한다.
2) 연구의 대상이 동물인 경우에는 실험동물의 고통과 불편을 줄이기 위하여 행한 처치를 기술하여야 한다. 실험 과정이 연구기관의 윤리위원회 규정이나 NIH Guide for the Care and Use of Laboratory Animals에 저촉되지 않았음을 명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 편집위원회는 필요 시 서면동의서 및 IRB 승인서의 제출을 요구할 수 있다.
2. 다음과 같은 부정행위가 있는 논문은 게재하지 않는다.
1) 위조: 존재하지 않는 자료나 연구결과 등을 허위로 만들어내는 행위
2) 변조: 연구재료, 장비, 또는 과정을 조작하거나 데이터를 임의로 변형·삭제함으로써 연구내용 또는 결과를 왜곡하는 행위
3) 표절: 타인의 아이디어, 연구결과 등을 적절한 인용 없이 사용하는 행위
3. 중복게재 및 중복투고를 금지한다.
1) 타 학회지에 게재되었거나 투고 중인 원고는 본 학회지에 투고할 수 없으며, 본 학회지에 게재되었거나 투고 중인 논문은 타 학술지에 게재할 수 없다.
2) 중복게재의 판정 기준은 다른 언어, 일부 혹은 전부, 인쇄 혹은 전자매체, 학술지 등재 여부를 막론하고 게재된 적이 없어야 한다.
3) 저자가 본 학술지에 게재된 원고를 다른 언어로 이차게재 하고자 하는 경우 양쪽 학술지 편집위원장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4) 분할 논문은 투고 및 게재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4. 윤리규정을 위반한 사안이 발생하면 편집위원회에서 검토하고 연구소장에게 보고한다.
1. 이해관계는 저자(혹은 저자의 기관), 심사자나 편집자가 재정적, 개인적 관계가 있는 경우에 발생하게 되며 저자는 다음과 같은 이해관계를 명시하여야 한다.
1) 고용, 자문, 주식보유, 사례금, 유료 전문증언, 특허 신청/등록, 기타 연구비 수여 또는 지원 등의 재정적 관계
2) 특수관계인 미성년자 (만 19세 이하인 자) 또는 가족 (배우자, 자녀 및 4촌 이내의 혈족)이 공동저자로 참여한 사항
2. 위와 같은 이해관계는 표지나 공시사항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며, 이해 상충이 없는 경우에는 “이해 상충 없음”을 명시해야 한다.
1. 저자가 되기 위해서는 아래 4가지 기준을 모두 충족해야 한다.
1) 연구의 개념과 설계, 자료의 수집, 자료의 분석이나 해석에 실질적인 기여
2) 논문의 초안을 작성하거나 학술적으로 중요한 내용에 대한 비평적 검토
3) 출판될 논문의 최종 원고에 대하여 동의 혹은 승인
4) 연구의 정확성 또는 진실성과 관련 문제 제기 시 적절히 조사하고 해결할 것을 보장하고 연구의 모든 측면에 책임지는 것을 보장
2. 여러 기관의 연구진이 참여하는 대규모 연구의 경우, 그 단체는 논문 내용에 직접 책임을 지는 저자를 명확히 해야 한다.
3. 연구비 확보, 자료수집, 전반적인 연구 감독만으로는 저자됨의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저자로 지명된 모든 사람은 저자됨을 충족하는 자격이 있어야 하며 그들의 이름은 모두 명기되어야 한다.
4. 저자는 연구 자료(raw data 및 동의서 등)를 보관하여야 하며, 심사 및 출판과정에서 편집부의 요청이 있는 경우, 자료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거나 제출하여야 한다.
1. 본 연구소 소원은 논문을 투고할 수 있으며, 비소원은 다음의 경우에 투고할 수 있다.
1) 본 연구소 소원과 공동연구를 하였을 때
2) 본 연구소 이사의 추천을 받았을 때
2. 석·박사학위논문의 경우 학위논문임을 명시해야 하며, 제1저자는 학위수여자여야 한다.
3. 논문에서 사용한 연구도구는 저작권자의 승인을 받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도구와 관련된 책임은 연구자에게 있다.
4. 원고는 온라인으로 제출한다.
1) 논문 투고 시 본 연구소 홈페이지(http://krihn.org)에 접속하여 온라인 논문투고시스템을 통해 투고한다.
2) 원고를 투고할 때 자가점검사항과 저작권 이양동의서를 투고시스템 내에서 입력한다.
5. 투고된 논문은 유사도 검사를 실시하여 표절여부를 심사한다. 논문의 논문 유사도가 높은 경우, 게재를 거부하거나 수정요청을 할 수 있다.
6. 본 투고규정에 부합되지 않는 원고는 접수하지 않으며 접수된 논문은 특별한 사유 없이 저자를 바꾸거나, 추가 또는 제외할 수 없다.
1. 원고는 국문 또는 영문으로 작성하고 초록을 반드시 포함하되, 국문원고의 초록, 표, 그림,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한다. 영문으로 제출 시 영문교정 증명서를 제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제1저자와 공동저자는 구분하여 표기하되 소속을 명시한다. 첫 번째 표기되는 저자는 제1저자, 다음 표기되는 저자는 공동저자로 구분하되, 교신저자는 따로 표시한다.
3. 국문 원고는 A4 크기 용지에 한글(.hwp)로 작성하고, 여백주기(머리말, 꼬리말 포함)는 위쪽 30mm, 아래쪽 25mm, 왼쪽 25mm, 오른쪽 25mm로 주며, 서체는 신명조, 글자 크기는 10포인트, 줄 간격은 200%로 작성한다.
4. 초록, 본문, 참고문헌, 표, 그림 및 부록을 포함하여 전체 페이지가 20페이지를 넘지 않아야 한다(20페이지 넘는 원고는 접수하지 아니한다).
5. 초록이나 본문에 영문 약어를 사용하는 경우, 처음에는 full name을 기재하고, 다음부터는 약어를 사용한다. 단 논문 제목에는 약어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예: 행동심리증상(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in Dementia, BPSD)
6. 표준약어와 단위는 Citing Medicine: The NLM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Style Guide for Authors, Editors, and Publishers 제2판(2007)을 참고하여 기술한다.
7. 학술용어는 한국간호과학회 발행 간호학 표준용어집 및 대한의사협회 발행 의학용어집 최신판에 수록된 것을 준용한다.
8. 괄호( )를 사용할 때의 띄어쓰기는 괄호( ) 앞에 영문이나 숫자가 올 때는 띄어 쓰고, 국문이 올 때는 붙여서 쓴다. 괄호( ) 다음에 오는 조사는 붙여서 쓴다.
9. 약물은 일반명(속명)을 사용하여 표기한다. 기기 및 장비의 표기를 할 때는 괄호 ( )안에 모델명, 제조회사를 기재하고, 상품명을 뜻하는 TM, ⓡ 등은 꼭 필요한 경우에만 표기한다.
1. 원고는 표지, 제목, 영문초록, 본문(서론, 방법, 결과, 논의, 결론), 참고문헌, 표, 그림의 순으로 구성하며, 각각은 별도의 페이지로 시작한다. 질적 연구의 경우는 그 조직을 달리 할 수 있다. 각 순서는 I-1-1)-(1)의 순으로 전개한다.
2. 원고의 첫 장은 표지가 되며, 제목, 약식 제목(running title), 논문의 종류, 저자, 교신저자, 기타 공시사항, 주요어, 저자 기여도 순으로 구성한다.
1) 논문의 종류는 종설, 양적연구, 질적연구, 개념분석, Q방법론적 연구, 메타분석 등으로 구분하여 기재한다.
2) 저자는 모든 저자의 성명, 소속(직장), 직위, ORCID (Open Researcher and Contributor ID)를 한글과 영문으로 기재한다.
3) 교신저자는 성명, 주소, 우편번호, 전화번호, FAX 번호, e-mail 주소, ORCID를 한글과 영문으로 기재한다.
4) 공시사항은 학위논문, 연구비 지원, 그 외 이해관계(conflict of interest), 특수관계인 공동저자, 감사의 글(acknowledgements), 보충자료(supplementary materials) 등에 대하여 한글과 영문으로 기재한다.
5) 주요어는 국문으로 5개 이내를 기술하며, 가능한 영문 주요어와 동일하게 기재한다.
6) 저자 기여도(Author contributions): 저자가 2명 이상인 경우 각 저자의 역할에 대해 기술한다. 저자의 역할은 CRediT (https://credit.niso.org/)을 참조하여 작성한다.
3. 영문초록은 제목을 상단에 기재하고, 250 단어 이내로 Purpose, Methods, Results, Conclusion의 소제목 하에 줄을 바꾸지 않고 연속적으로 기술한다. 초록 하단에 MeSH (https://meshb.nlm.nih.gov/search)에 등재된 영문 주요어(key word)를 5개 이내로 기록한다.
4. 본문은 서론, 연구방법(연구의 윤리적 고려 포함), 연구결과, 논의, 결론 순으로 구성한다. 단, 질적 연구와 종설은 그 구성을 달리 할 수 있다.
1) 서론: 연구의 목적을 간결하고 명료하게 제시하며 배경에 관한 기술은 목적과 연관이 있는 내용만을 포함한다.
2) 연구방법: 연구설계, 연구대상, 연구도구, 자료수집 및 자료분석 방법 등을 순서대로 소제목으로 나누어 기술한다.
3) 연구결과: 본문, 표, 및 그림을 사용하여 주요 결과를 명료하고 논리적으로 기술한다.
4) 논의: 연구결과에 대한 고찰 및 이에 관련된 다른 자료와 연관하여 해석한다. 결과의 내용 을 중복으로 기술하지 않는다.
5) 결론: 연구방법이나 결과 등을 반복 기술하지 말고, 관찰소견의 의미 및 제한점을 기 술하며. 결론과 연구의 목적을 연관시킨다.
1. 표, 그림 및 사진은 영문으로 작성하고, 각각 별도의 페이지에 배치하며 5개 이내를 원칙으로 한다.
2.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연구의 경우 최종분석 대상 논문의 목록, 도구개발 연구의 경우 최종 개발 도구를 부록으로 첨부할 수 있다.
3. 질적 연구의 경우, 영문으로는 표나 그림의 의미 전달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될 경우 출판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문으로 표기할 수 있다.
4. 표 작성 원칙
1) 표의 제목은 표의 상단에 위치하며, 접속사, 관사, 전치사를 제외한 각 단어의 첫 자를 대문자로 한다.
예: Table 1. Overall Responses to Question Types
2) 모든 선은 단선(single line)으로 하고, 종선(세로줄)은 사용하지 않는다.
3) 표는 본문에서 인용되는 순서대로 번호를 붙인다.
4) 표에서 설명이 필요한 경우 각주에서 설명한다. 표에 사용한 비표준약어는 모두 표의 하단각주에서 설명한다.
예: HR=heart rate; T=temperature.
5) 각주는 위첨자 형태의 기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며, 기호의 순서는 †, ‡, §, ǁ, ¶, #, ††, ‡‡로 한다. 기호로 제시된 부분의 설명은 표의 좌하단에 제시한다.
예: †Survival cases; ‡Dead cases.
6) 연령, 체중, 신장의 평균치와 단위의 크기는 소수점 한자리까지로 한다.
7) 소수점은 그 숫자값이 ‘1’을 넘을 수 있는 경우에는 소수점 앞에 0을 기입하고, ‘1’을 넘을 수 없는 경우에는 소수점 앞에 0을 기입하지 않는다.
예: t=0.26, F=0.92, r=.14, R2=.61, p<.05
8) 유의확률을 나타내는 p값은 각주를 붙이지 않고 값을 그대로 기술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 며, p값이 .000으로 나올 경우에는 p<.001로 기술한다.
9) 소수점 기재 시 유의수준은 소수점 3자리, 표준편차는 소수점 2자리까지 기재하고, 그 외의 모든 실수 및 평균 자료는 소수 1자리까지 기재한다.
10) 부득이 유의확률 p값을 각주로 기록해야 할 경우 *, **를 사용하여 기록한다.
예 : *p<.05,**p<.01
5. 그림과 사진 작성 원칙
1) 그림 제목은 그림의 하단에 위치하며, 첫 자만 대문자로 한다.
예: Figure 1. Mean responses to questions by student grade categories.
2) 동일 번호에서 2개 이상의 그림이 있는 경우, 아라비아 숫자 이후에 알파벳 글자를 기입하고 표시한다.
예: Figure 1-A, Figure 1-B
3) 사진은 원본을 제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사진의 크기는 102×152 mm(4×6인치) 이상이어야 하고 부득이한 경우라도 203×254 mm(8×10인치)를 넘지 않아야 한다.
4) 조직표본의 현미경 사진의 경우 조직부위 명, 염색방법 및 배율을 기록한다.
5) 그래프에 쓰이는 symbol은 ●, ■, ▲, ◆, ○, □, △, ◇의 순서로 작성한다.
1. 문헌의 인용은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여 모두 영문으로 하되, 이 예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는 The NLM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Style Guide for Authors Editors, and Publishers 제2판(2007)(http://www.nlm.nih.gov/citingmedicine)을 참고한다.
2. 본문 내에서 다른 저자가 같은 내용에서 인용될 때는 인용순서에 따라 번호를 붙인다.
예: [1], [2,3], [4-6] or [7–9,13]
3. 본문에 문헌을 인용한 경우 문헌인용 순서에 따라 숫자로 괄호 [ ] 안에 기입한다.
4. 한 참고문헌이 본문에서 계속 인용될 경우 같은 번호를 사용한다.
5. 본문에 저자 이름이 언급되는 경우에도 반드시 번호를 함께 사용하여야 한다.
예: 1명 또는 2명인 경우 본문 내 모두 표기 Beck [3], Jo & Kim [7],
3명 이상인 경우는 Cox et al. [11]로 사용한다.
1. 본문에 인용된 문헌은 반드시 참고문헌 목록에 포함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목록은 메타분석, 체계적고찰, 구조방정식모형에 관한 원고를 제외하고 일반논문의 경우 40개 이내로 하고, 본문에 인용된 번호 순서에 따라 나열한다.
2. 참고문헌 기술은 Citing Medicine: The NLM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Style Guide for Authors, Editors, and Publishers 제 2판(2007)에 따라 작성하되, 모두 영어로 표기한다. 국외잡지는 전체 잡지명(full name)으로 기입하고, 주요단어마다 첫 자를 대문자로 표기한다.
3. 저자가 7인 이상일 때는 6명까지 모두 기입하고 나머지는 등(et al.)으로 표기한다.
예) Kim JI, Suh EE, Song JE, Im Y, Park JH, Yu S, et al.
Van CC, Bielderman A, Wijnen M, Leontjevas R, Lucassen P, Graff M, et al.
4. 디지털 학술정보의 용이한 활용, 검색의 효율성 도모, 인용 활성화를 위해 DOI (Digital Object Identifier)를 서지사항 마지막 부분에 기재한다. http://www.crossref.org에서 DOI 번호로 문헌을 검색할 수 있다.
5. 영문명이 명확하지 않은 학술지는 인용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1) 학술지
– 저자명. 논문명. 학술지명. 출판연도;권(호): 시작페이지-마지막 페이지. DOI 순으로 기재한다.
예: 저자가 6인 이하인 경우
Chen H, Nakatani H, Liu T, Zhao H, Xie D. The core knowledge and skills of nursing competency regarding mealtime assistance for hemiplegic patients in China. Asian Nursing Research. 2020;14(2):129-135. https://doi.org/10.1016/j.anr.2020.04. 005.
예: 저자가 7인 이상인 경우
Kim JI, Suh EE, Song JE, Im Y, Park JH, Yu S, et al. Development of caring as a human science: 50 years of the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20;50(3):313-332. https://doi.org/10.4040/jkan.20142.
– 출판 중인 학술지의 논문: 저자명. 논문명. 학술지명. Forthcoming. 지면 출간 예정 연월일. 순으로 기재한다.
예: 지면 출간일을 아는 경우
Van CC, Bielderman A, Wijnen M, Leontjevas R, Lucassen P, Graff M, et al. Defining empowerment for older people living with dementia from multiple perspectives: A qualitative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Forthcoming 2021 Feb 1. https://doi.org/10.1016/j.ijnurstu.2020.103823.
예: 지면 출간일을 모르는 경우
Van Corven C, Bielderman A, Wijnen M, Leontjevas R, Lucassen P, Graff M, et al. Defining empowerment for older people living with dementia from multiple perspectives: A qualitative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21. Forthcoming.
2) 잡지기사
– 저자. 잡지기사명. 잡지명. 연도 날짜:페이지. 순으로 기재한다.
예: Rutan C. Creating healthy habits in children. Parish Nurse Newsletter. 2012 May 15:5.6.
3) 신문기사
– 기자. 기사명. 신문명. 연도 날짜;Sect. 란. 순으로 기재한다.
예: Cho CU. Stem cell windpipe gives Korean toddler new life. The Korea Herald. 2013 May 2; Sect. 01.
4) 저서
– 단행본: 저자. 도서명. 판차사항. 출판도시: 출판사; 출판연도. 페이지 수 p. 순으로 기재한다.
예: Peate I. The students guide to becoming a nurse. 2nd ed. Chichester WS: John Wiley & Sons; 2012. 660 p.
– 인터넷 상 단행본: 저자. 도서명 [Internet]. 출판사; 출판연도 [인용일자]. Available from: URL 순으로 기재한다.
예: Peterson K. Guide to life science careers [Internet]. NPG Education; c2014 [cited 2020 Jul 2]. Available from: https://www.nature.com/scitable/ebooks/guide-to-lifescience-careers -14053951/.
– 단행본 내의 한 장(chapter): 장(chapter) 저자. 장(chapter) 제목. 출판도시: 출판사; 출판연도. 페이지 수 p. (편저자, editor(s). 단행본명). 순으로 기재한다.
예: Miller CW. Applied cardiovascular physiology. Stuttgart: Thieme; 2000. 285 p. (Wingfield WE, Raffe M, editors. The veterinary ICU).
– 편저: 편저자, editor(s). 서명. 출판지: 출판사; 연도. 순으로 기재한다.
예: Curley MAQ, Moloney-Harmon PA, editors. Critical care nursing of infants and children. Philadelphia, PA: W.B. Saunders Co.; 2001.
5) 연구보고서
– 저자. 보고서 제목. 보고서 유형. 출판지: 기관 (대학); 출판일. 보고서 번호. 순으로 기재한다.
예: Kwon JH.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infertility counseling and the development of infertility counseling delivery system.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Dec. Report No.: 11-1352000-001853-01.
6) 학위논문
– 학위논문은 가급적 인용하지 않도록 하며, 단 필요한 경우 전체 인용문헌의 10%를 넘지 않도록 한다.
– 저자. 논문명: 부제 [학위 유형]. [소재지]: 수여기관명; 수여일자, 페이지 p. 순으로 기재한다.
– 박사학위 논문
예: Jin HY. A study on the analysis of risk factors and characteristics for nosocomial infection in intensive cure unit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05. 276 p.
– 석사학위 논문
예: Lee EJ. Knowledge about cervical cancer, health beliefs and human papillomavirus vaccination rate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masters thesis]. [Daegu]: Keimyung University; 2011. 70 p.
7) 학술회의나 심포지엄의 자료(Proceedings)
– 미출간 구두발표자료(Oral session): 저자. 발표 제목. Paper presented at: 학술대회명; 학술대회 일시; 학술대회 장소. 학술대회 지명. 순으로 기재한다.
예: Bryar R. The primary health care workforce development roadmap. Paper presented at: The public health nursing contribution to primary health care 3rd International public health nursing conference; 2013 August 25-1;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NUIG). Galway.
– 미출간 포스터 발표자료(Poster Session): 저자. Poster 제목. Poster session presented at: 학술대회명; 학술대회 일시; 학술대회 장소. 학술대회 지명. 순으로 기재한다.
예: Bigbee J. Promoting the health of the population: Public health nursing leading the way. Poster session presented at: The public health nursing contribution to primary health care 3rd International public health nursing conference; 2013 August 25-1;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NUIG). Galway.
– 출간 발표자료: 저자. 제목. 학술대회명; 학술대회 일시; 학술대회 장소. 학술대회 지명: 출판사 출판연도. p. 페이지. 순으로 기재한다.
예: Bell JM. Highlights from the 10th international family nursing conference. Making family nursing visible: From knowledge building to knowledge translation 10th international family nursing conference; 2011 June 24-28; Kyoto International Conference Center. Kyoto: Sage Publications; 2013. p. 135-139.
7) 전자저널, Web 자료
– 저자. 논문명. 연속간행물명. 출판연도; 권(호): 페이지수. Available from: URL. 순으로 기재한다.
– 저자. 논문명. 연속간행물명 [자료유형]. 출판연도 [인용일자]; 권(호): 페이지수. Available from: URL. 순으로 기재한다.
예: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Process of translation and adaptation of instruments [Internet]. WHO; c2020 [cited 2020 Jun 29]. Available from: http://www.who.int/substance_abuse/research_tools/translation/en/.
8) 이차자료에서의 인용
– 이차자료는 일차자료를 찾을 수 없는 불가피한 상황에서만 사용하고, 이차자료에서 인용되었음을 참고문헌에 밝힌다.
예: Gordis E. Relapse and craving: A commentary. Alcohol Alert. 1989;6:3. Cited by Mason BJ, Kocsis JH, Ritvo EC, Cutler RB. A double-blind, placebo controlled trial of desipramine for primary alcohol dependence stratifi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major depression, JAMA. 1996;275:761-767.
1. 투고된 원고는 최소 2인 이상의 심사위원이 심사를 한다.
2. 신속심사를 신청할 경우 자가점검사항의 신속심사란에 체크한다.
3. 전문가 동료들에 의한 원고 심사 후 편집위원이 심의한다. 이때 편집위원은 심사위원의 지적사항에 대한 수정이 미비한 경우, 추가 수정이 필요한 경우, 투고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 재수정을 요청한다.
4. 심사 결과에 따라 저자는 수정보완을 해야 하며, 수정한 원고와 수정보완사항 표를 하나의 파일로 작성하여 온라인 논문투고시스템으로 14일 이내에 제출해야 한다. 심사위원의 지적에 따른 수정사항을 항목별로 기술하고 원고에 수정한 부분을 표시하여야 한다.
5. 원고채택 여부는 심사위원 및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채택된 논문의 게재 순서는 최종 원고 완성 일자와 접수된 순서를 감안하여 편집위원회에서 정한다. 심사 및 출판에 관한 세부사항은 별도의 규정에 따른다.
1. 논문 게재료는 본 연구소 규정에 따라 저자가 부담한다.
2. 투고 논문 접수 시 심사료를 부과할 수 있다.
이 규정은 2024년 8월 3일부터 시행한다.